유럽인도 “완도김 베리 굿”…K푸드 열풍, 전남이 이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8면

지난달 25일 독일 베를린에서 ‘전남도 유럽 관광설명회’가 열린 가운데 김영록 전남지사가 행사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전남도]

지난달 25일 독일 베를린에서 ‘전남도 유럽 관광설명회’가 열린 가운데 김영록 전남지사가 행사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전남도]

지난달 25일 오후 6시(현지시각) 독일 베를린 마리팀호텔에서 열린 ‘전남도 유럽 관광설명회’. 참석자들이 전남산 농수산물로 만든 가공식품을 먹으며 “베리 굿”을 연발했다. ‘전남 트레블 쿡(Travel cook)’이라고 적힌 상자에는 전남에서 생산된 먹을거리 11종이 들어 있었다.

참석자들은 특히 K푸드로 주목받는 김과 김부각을 맛본 후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독일에서 국내 농수산 가공품을 유럽에 유통하는 ‘이지쿡아시아’의 이민철 대표는 “최근 김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국산 농수산물을 찾는 유럽인이 부쩍 늘었다”고 했다.

한국산 김과 김밥 등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K푸드가 새로운 한류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된 농수산물 인기가 미국과 중국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가는 모양새다.

K푸드 열풍이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분야는 한국산 농수산물의 수출 증가다. 13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농수산물 수출액은 108억4302만달러로 1년 전(104억8031만달러)보다 3.5%(3억6271만달러) 증가했다. 이중 ‘검은 반도체’라 불리는 김은 지난해 3만5446t이 수출돼 전년(3만470t)보다 16.3%(4976t) 증가했다. 2020년(2만4960t)과 비교하면 3년 만에 42.0%(1만486t) 늘어난 규모다.

사진은 ‘전남 트레블 푸드박스’. [사진 전남도]

사진은 ‘전남 트레블 푸드박스’. [사진 전남도]

한국산 농수산물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최대 산지인 전남산 먹거리 수출도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해 전남의 농수산물 총수출액은 6억3164만달러로 1년 전(5억5894만달러)보다 13.0%(7270만달러) 증가했다. 5년 전인 2018년 3억8911만달러보다 62.4%(2억4253만달러) 늘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 수출액이 1년새 59.4% 늘어난 것을 비롯해 유럽 42.4%, 일본 13.1%, 중국 11.4%, 미국 2.7% 등이 증가했다. 신현곤 전남도 국제협력관은 “농산물 수출 증가세를 고려할 때 올해 전남도의 수출목표인 7억달러를 달성하면 2026년에는 1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남산 농수산물 수출이 급증한 것은 국내산 먹거리의 주요 산지이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남 농수산물이 전국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김 34.0%를 비롯해 쌀(95.9%), 전복(93.5%), 배(68.6%), 김치(52.9%), 유자차(47.6%), 장류(45.1%) 등에 달한다.

전남도는 한국 농수산물 인기가 향후 유럽을 비롯한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베를린에서 열린 전남도 관광설명회 때도 전남산 농산물과 주요 관광지를 담은 영상물이 현지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당시 전남도가 유럽에서 처음 개최한 설명회에는 랄프 오스텐도르프 베를린관광청 대표와 권원직 주독일공사, 정성규 재독한인총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전남관광 글로벌 SNS 유럽 서포터즈 발대식’을 주도하며 전남의 맛과 멋을 유럽에 알렸다. 김 지사는 현지 여행업계와 인플루언서, 언론인 등이 참석한 행사에서 “전남은 올해부터 3년간 종합 관광축제인 전남 세계관광문화대전을 개최해 다양한 축제와 흥미로운 문화예술 콘텐츠를 준비했으니 많은 방문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